본문바로가기
발음
[바지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아랫도리에 입는 옷의 하나. 위는 통으로 되고 아래에는 두 다리를 꿰는 가랑이가 있다.
바지를 입다.
바지를 벗다.
치마를 벗고 바지로 갈아입다.
바지를 걷고 내를 건너다.
윗옷과 바지가 잘 어울린다.
원고 한 줄 쓰고도 손을 꼭 씻고 어느 때는 하루에 면도를 두 번씩 한 일이 있으며 칼날같이 다려 입은 바지 금이 행여나 펴지고 구길까….≪변영로, 명정 40년≫
덕보는 위 주머니의 담배를 꺼내 바지 깊숙이 찔러 넣었다.≪한수산, 부초≫

역사 정보

바디(16세기~17세기)>바지(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지’의 옛말인 ‘바디’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로 18세기부터 ‘바디’가 ‘바지’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바디, 바지
세기별 용례
16세기 : (바디)
바디 고 ≪1576 신유 상;31ㄱ≫
17세기 : (바디)
아롱 바디예 거믄 훠 신은 勇士ㅣ 네다 식 무둑무둑 나아드러 ≪1677 박언 하:30ㄱ-ㄴ
衲袴兒 누비바디 甲袴 겹바디 緜袴兒 핫바디1690 역해 상:45ㄴ
18세기 : (바지)
뎌 여러 勇士들이 다 아롱 바지에 거믄 靴를 신고 ≪1765 박신 3:34ㄱ
開袴子 바지춤 히다 兜袴子 바지춤 다 窮袴 밋 막은 바지 ≪1775 역해-보 28ㄴ≫
바지 과 袴 ≪1781 왜해 상:45ㄴ
곡도숑 믈 드린 綾 바지와 흰 깁 汗衫과 ≪1795 노언-중 하:48ㄱ
19세기 : (바지)
바지 袴 ≪1880 한불 308

다중 매체 정보(1)

  • 바지

    바지

관용구·속담(1)

관용구바지까지 벗어 주다
도저히 내어줄 수 없거나 양보할 수 없는 것까지 자신의 모든 것을 다 넘겨주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아래옷상위어본말/준말아랫바지봉지지바비슷한말참고 어휘ㄱ(2)ㄷ(1)ㄴ(1)ㄹ(1)ㅅ(2)ㅇ(1)ㅁ(4)ㅂ(2)ㅍ(1)ㅌ(1)ㅎ(4)ㅉ(1)ㅊ(3)전체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바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