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올가미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사람이 걸려들게 만든 수단이나 술책.
누구라도 그의 빈틈없이 계획된 올가미를 빠져나가기는 어려울 것이다.
배달수는 할 말을 잃고 어둠 속에 고개를 무겁게 떨어뜨린 채 앉아서 운명의 올가미에 걸려 있는 자신을 한탄하였다.≪문순태, 피아골≫
사내의 발악적인 고함 소리와 총소리, 머리맡을 위협하는 발소리는 올가미가 되어 숨어 있는 사람들의 목을 사정없이 죄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마치 흉악한 운명의 신이 있어서 한 시도 쉬지 않고 그를 따라 다니며 그에게 불행의 올가미를 덮어씌우는 것처럼 보인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오리치(강원), 옥매기(강원), 올개미(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청, 함북, 황해), 옹내기(강원), 옹노(강원, 경기, 경북, 함경), 옹누(강원, 황해), 옹무(강원, 경기, 충북), 홀개이(강원, 경남), 홀겡이(강원), 홀래미(강원), 홀롱(강원), 홀룽(강원), 홀치-기(강원, 경남), (경기), 옹모(경기), 몽매(경남, 전라), 홀갱이(경남), 홀깨기(경남), 홀깨미(경남), 홀깽이(경남), 홀꾸마리(경남), 홀끼(경남), 홀랭기(경남), 홀랭이(경남), 홀리이(경남), 홀링이(경남), 홀칭개(경남), 훌꾸마리(경남), 훌치기(경남), 목지깨-틀(경북), 몽노(경북, 함경), 몽노이(경북, 함경), 새-털(경북), 새차우(경북), 새치(경북), 올캐미(경북), 올캥이(경북, 전남), 호캐미(경북), 혹가지(경북), 혹다래끼(경북), 혹당가지(경북), 홀개미(경북), 홀기미(경북), 홀까지(경북), 홀껭(경북), 홀랑개이(경북), 홀째이(경북), 홀카리(경북), 홀캐이(경북), 홀통-가지(경북), 홀통개(경북), 홍노(경북), 얼개미(경상, 전남), 올갱이(경상), 올기미(경상), (경상, 전라, 제주), 목-메(전남), 바침(전남), 쪽대(전남), (전남), (전남), 헐렁게(전남), 호동게(전남), 홀랑가지(전남), 홀랑개(전남), 홀랑개비(전남), 홀랭개(전남), 홀레끼(전남), 홀룽개-치(전남), 홀릉개(전남), 홀링개(전남), 홀링기(전남), 홀치(전남), 흘룽개(전남), 흘룽개-치(전남), 흘치(전남), 모까치(전라), 홀롱개(전라), 홀룽개(전라), 몰링개(전북), 얼릉개(전북), 올개이(전북), 올랭이(전북), 올룽개(전북), 훌룽개(전북), (제주), 코-거리(제주), 코고리-코(제주), 올모가지(충북), 올무가지(충북), 올코(평북), (함경), (함경), (함남), 새코(함남), 올코리(함남), 모노이(함북), 탄코(함북), 탄쾨(함북), 올사리(황해)
옛말
올

역사 정보

올긔(15세기~17세기)>올감이(18세기~19세기)>올가미(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올가미’의 옛말인 ‘올긔’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올긔’는 ‘옭-’에 명사 파생 접미사 ‘-의’가 결합된 것이다.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올감이’는 ‘옭-’에 명사 파생 접미사 ‘-아미’가 결합된 것이다. 이 ‘올감이’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올가미’가 현재에 이른다.
이형태/이표기 올긔, 올기, 올감이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올긔))
趙州의 올긔 자바 ≪1472 몽법 12ㄱ
16세기 : ((올긔, 올기))
趙州의 올긔 자바 ≪1517 몽산-고 9ㄴ
사게 믜욘 고 올기 자보리니 ≪1517 몽산-고 법:3ㄱ
17세기 : ((올긔))
올긔 잡다 (提敗) ≪1657 어록-초 7ㄱ
18세기 : ((올감이))
活扣子 올감이1748 동해 하:12ㄴ
鳥套子 새 잡 올감이1775 역보 17ㄱ
19세기 : ((올감이))
능히 올감이 들어 새 유인야 ≪1892 성직 3:42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술책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올가미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