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물껼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파도처럼 움직이는 어떤 모양이나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익어 가는 보리가 굼실굼실 물결을 친다.
삼례벌은 흰옷 입은 사람 물결로 커다란 호수를 이뤘다.≪유현종, 들불≫
포도를 메우고 흘러가는 인파, 숱한 차량의 물결, 갖가지 소음, 철도 방송의 윙윙거림 따위가 여전했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술렁거리던 주위가 웃음의 물결로 번져 갔다.≪최정희, 인간사≫
먹물에 적신 듯 새까만 만화의 머리는 적당하게 부풀어 잔잔한 물결을 이루었고,….≪문순태, 피아골≫
한 단원이 일으켰던 그런 일상에의 변화는 얼마간의 시간을 단체 내에 물결을 일으키며 남았다가 시간과 함께 사라지곤 했다.≪한수산, 부초≫
고향의 봄은 논물의 물결을 타고 왔다.≪이익섭, 좋은 글을 찾아서≫

역사 정보

믌결(15세기~17세기)>믈결(16세기~18세기)>물결(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물결’의 옛말인 ‘믌결’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믌결’은 명사 ‘믈’과 관형격조사 ‘ㅅ’, 명사 ‘결’의 구성을 보인다. 16세기에는 ‘ㅅ’ 앞에서 ‘ㄹ’이 탈락한 어형인 ‘믓결’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16세기 후반부터는 ‘ㄹ’이 탈락하지 않은 ‘믌결, 믈, 믈결’ 등이 일반적인 어형이 된다. 이 중 ‘믈’은 ‘ㅅ’을 제2음절의 초성에 적은 것이다. 17세기 말 이후 ‘ㅁ’ 아래의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 모음화에 의해 18세기에 ‘물결’이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18세기에는 ‘믈ㅅ결’과 같은 표기도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믌결, 믉결, 믈, 믓결, 믈결, 믈ㅅ결, 물결
세기별 용례
15세기 : (믌결, 믉결)
애 드르시니 믌결이 갈아디거늘 드틀에 소사나시니 ≪1447 월곡 39ㄱ
즈믄 믌결와믌겨리 다 朝宗 니라 ≪1482 남명 상:6ㄴ
맷 믉결 잇 萬古ㅅ 峽에 肺病 오래 衰 老翁이로다 ≪1481 두시-초 3:41ㄱ
16세기 : (믌결, 믈, 믓결, 믈결)
부텨와 祖師과의 世間에 나샤미  업슨 바라헤 믌결 릴우미로다 ≪1569 선가 2ㄱ
금으로  시란 핟옷과 감차할 믈 바애 화문 비단 핟옷과 ≪1510년대 번노 하:50ㄴ
믓결 도 浪 믓결  瀾 믓결 란 波 믓결 파 ≪1527 훈몽 상:2ㄴ
믈결 랑 波 믈결 파 濤 믈결 도 ≪1576 신합 상:6ㄴ
17세기 : (믌결, 믈, 믉결, 믈결)
며 仲冬ㅅ 이 當야 믌결 닐 저긔 오리 ≪1632 두시-중 1:19ㄱ
波浪 믈 河沿 믈 ≪1690 역해 상:7ㄱ
맷 믉결 잇 萬古ㅅ 峽에 肺病 오래 衰 老翁이로다 ≪1632 두시-중 3:41ㄱ
홍 은 큰 믈의 믈결이 소사 닐어남 니 ≪17세기 마경 상:19ㄱ
18세기 : (믈, 믈ㅅ결, 믈결, 물결)
사이 이런 예 면 아무리  믈결과 난 믈이 락즈락 여도 엇지 저흐리 ≪1774 삼역 7:19ㄴ
水波浪 믈ㅅ결1790 몽해 상:6ㄴ
그 블희를 심금이 이믜 굿고 흐르 믈이 졈졈 큰디라 ≪1778 속명의 차:2ㄴ
이에 대 티고 노래니 람이 자고 물결이 긋치거 ≪1737 여사 4:17ㄱ
19세기 : (물결)
팔월 셔풍이 엇지 그리 모진고 양강 가온 물결이 니럿도다 ≪1852 태상 3:58ㄱ

관용구·속담(1)

관용구물결(을) 타다
시대의 풍조나 형세에 맞게 처신하다.
  • 대학도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변하기 시작하였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모양현상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추파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물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