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이

- 품사
- 「명사」
- 「002」남에게 자기 자식을 낮추어 이르는 말.
- 우리 아이가 올해 스물이 넘었지만 아직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많이 보살펴 주시기 바랍니다.
- 난 서방질하는 한이 있더라도 아이들은 지켜야겠어요.≪이정환, 샛강≫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아(15세기~19세기)>아희(16세기~19세기)>아히(19세기)>아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이’의 옛말인 ‘아’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6세기에는 ‘아희’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발음되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아히’ 형태가 등장하였고, 모음 사이에서 자음 ‘ㅎ’이 탈락하여 현대 국어의 ‘아이’가 된 것이다. 한편 ‘아’와 의미가 동일한 한자어 ‘兒孩’도 존재하는데, 중세국어 시기에 한자 ‘兒’의 음은 ‘’였으므로 ‘아’가 한자어 ‘兒孩’에서 유래한 것이라 볼 수는 없다. |
---|---|
이형태/이표기 | 아, 아희, 아히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