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삘기]
품사
「명사」
분야
『식물』
「001」띠의 어린 꽃이삭.

역사 정보

유기(16세기)>율기(19세기)>기(19세기)>삘기(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삘기’의 옛말인 ‘유기’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7, 18세기 문헌에서는 예가 보이지 않고 19세기 문헌에 ‘율기’와 ‘기’ 형태가 나타나는데, 근대국어 시기에 ‘유기’에 제2음절 종성의 ㄹ 첨가를 거쳐 ‘율기’가 되고, 다시 모음 ㅠ의 탈락을 거쳐 ‘기’ 형태로 바뀐 것이다. ‘기’는 어두 된소리의 표기 방식만 다를 뿐 현대 국어의 ‘삘기’와 소리는 동일하다.
이형태/이표기 유기, 율기, 기
세기별 용례
16세기 : (유기)
荑 유기 뎨 ≪1527 훈몽 상:5ㄱ
19세기 : (율기, 기)
율기 荑草 ≪1810 몽유 상:15ㄴ
기 荑 ≪1880 한불 32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