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바다까발음 듣기/바닫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바닷물과 땅이 서로 닿은 곳이나 그 근처.
흰 물결이 밀려오는 바닷가.
바닷가로 여름휴가를 떠났다.
수영을 하러 바닷가로 나갔다.
뱃고동 소리를 듣고 싶어 했고, 바닷가에 정박한 큰 배를 보고 싶어 했다.≪김원일, 노을≫
우리는 백사장을 걸어서 인가가 보이지 않는 바닷가의 바위 위에 앉았다.≪김승옥, 무진 기행≫
원균은 다부진 몸을 돌려 이순신의 집무실에서 나와 그가 기거하는 사천으로 가기 위한 바닷가로 나갔다.≪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해운대의 겨울, 사람 없는 바닷가를 거닐며 기나긴 얘기 듣고 싶어요.≪안정효, 하얀 전쟁≫
이상한 여행, 쓸쓸한 이 바닷가, 이곳에서 만나야 했던 임 선생님, 내가 왜 여길 왔지?≪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바/바(15세기)>바/바(17세기)>바다/바ㅎ(18세기)>바닷가(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닷가’는 ‘바다’와 ‘가’의 합성어이다. 현대 국어 ‘바다’는 15세기에 ‘바ㅎ’과 ‘바다ㅎ’으로 쓰였고 16세기에는 ‘바라ㅎ’도 쓰였다. 이 단어는 현대 국어로 오면서 ‘바다’로 쓰이는 경향이 짙어졌고, ‘갓’은 받침 ‘ㅅ’이 탈락한 ‘가’로 쓰이게 되었다. 그러나 ‘갓’도 일부 지역어에서는 여전히 쓰이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바, 바, 바, 바, 바다ㅎ, 바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바, 바)
楞伽山이 南天竺 바 잇니 神通 잇 사미 가니라 ≪1447 석상 6:43ㄴ
天下 바 니르리 降服니라 ≪1447 석상 24:12ㄴ
이제 바 잇 羯隨라  새 ≪1447 석상 24:20ㄱ
아미 이제 바 갯고 두 아  山東애 잇도다 ≪1481 두시-초 8:38ㄱ
17세기 : (바, 바)
靑草와 洞庭ㅅ 湖애 東녀크로 바로  워 가놋다 ≪1632 두시-중 19:32ㄱ
아미 이제 바 갯고 두 아이  山東애 잇도다 ≪1632 두시-중 8:38ㄱ
18세기 : (바다ㅎ, 바다)
홍츙 젼라도 바다흘 니신 말이라 ≪1783 유김재인서 1ㄴ
이 비록 깁고 바다히 비록 머나 ≪1783 유김재인서 7ㄱ
바다에 겸황 줄은 이믜 만 리 히 보오시 ≪1794 유제도윤음 6ㄱ

관용구·속담(1)

속담바닷가 개는 호랑이 무서운 줄 모른다
겪어 보지 않았거나 어리석어서 사리에 어두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미련한 송아지 백정을 모른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