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인두

- 품사
- 「명사」
- 「001」바느질할 때 불에 달구어 천의 구김살을 눌러 펴거나 솔기를 꺾어 누르는 데 쓰는 기구. 쇠로 만들며 바닥이 반반하고 긴 손잡이가 달려 있다.
- 인두로 옷을 다리다.
- 노파는 이번에는 화로에 꽂았던 인두를 뽑아 자기 입술 가까이 갖다 대어 단 정도를 알아보고….≪황순원, 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연두(강원), 윤두(강원, 경북, 충청, 함남), 윤뒤(강원, 경상, 함경), 윤디(강원, 경상, 전남, 제주, 함경), 윤데(경남), 윤도(경북), 윤드(경북), 인뒤(경북, 함남), 유두(경상), 인도(引刀)(경상), 인디(전남), 눈디(충북), 운디(충북), 부슬(황해), 야수(황해)
- 옛말
- 인도
역사 정보
인도(17세기~18세기)>인두(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인두’의 옛말인 ‘인도’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근대국어 후기에 두 번째 음절의 양성모음 ‘ㅗ’가 음성모음 ‘ㅜ’로 바뀌어 20세기 이후로 ‘인두’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인도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