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헏깐

- 품사
- 「명사」
- 「001」막 쓰는 물건을 쌓아 두는 광. 흔히 문짝이 없이 한 면이 터져 있다.
- 곡식을 헛간에 쟁여 두다.
- 볏짚을 헛간에 쌓아 두다.
- 오랫동안 안 쓴 방은 헛간이나 다름없었다.
- 그들은 창고 같은 헛간으로 들어갔다. 헛간 안에는 잡동사니 물건들이 가득가득 차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공청(空廳)
- 지역어(방언)
- 허수-간(경기), 허슬-간(허슬間)(경기), 횟-간(횟間)(경기), 창지-간(창지間)(경남, 전라, 전라,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텃-간(텃間)(경남), 햇-간(경남), 건저-실(乾貯室)(경북), 창지-칸(경북, 중국 흑룡강성), 창자-간(창자間)(전라, 중국 길림성), 연장-간(연장間)(충남), 허덧-간(허덧間)(충북, 중국 길림성, 중앙아시아), 헷-간(헷間)(충북), 텅-깐(평북), 허텅(평북), 허덕-간(함경), 술-간(술間)(함남), 숱간(함남), 허칸(함남), 허더-칸(함북, 중국 길림성), 허텅-간(허텅間)(함북), 텅-광(황해), 텅-칸(황해), 헛-칸(황해), 훗-간(훗間)(황해), 두지-칸(중국 길림성), 어간-칸(중국 길림성)
역사 정보
허간(16세기)>헛간(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헛간’의 옛말은 16세기 문헌에서 ‘허간’으로 나타난다. 이 말은 ‘虛間’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이 말이 18세기에 들어서 사잇소리가 생긴 ‘헛간’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19세기에는 ‘ㅓ’가 ‘ㅔ’로 전설모음으로 바뀐 된 ‘헷’이란 이형태도 관찰된다. |
---|---|
이형태/이표기 | 허간, 헛간, 헷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