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보습발음 듣기]
활용
보습만[보슴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농업』
「001」쟁기, 극젱이, 가래 따위 농기구의 술바닥에 끼우는, 넓적한 삽 모양의 쇳조각. 농기구에 따라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장정이 다 된 듬직한 몸으로 쟁기 꼭지를 쥐고 보습을 흙 속에 깊숙이 박았다.≪안수길, 북간도≫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버섭(강원, 제주, 충북, 평안, 함북, 황해), 보섶(강원), 보솦(강원), 소부(강원, 경북), 소비(강원, 경북), 후치(강원), 흑쟁이(강원), 버십(경기), (경기), 평가리(경기), 끗-세(경남), (경남), 따부(경남), 따부-날(경남), 따부-세(경남), 따부이(경남), 바닥-세(경남), 버습(경남), 보석(경남, 충남), 보슷(경남), 본습(경남), 쟁기-이빨(경남), 쟁깃-세(경남), 훌정새(경남), 훌지(경남), 훌지-쇠(경남), 훌찌(경남), 훌충쌔(경남), 끗-날(경북), 보솟(경북, 전남), 보시비(경북), (경북), 뿍띠기(경북), 소빗-날(경북), 써리(경북), 안쏘부(경북), 알-쇄(경북), 헉징이-날(경북), 홀칭이-날(경북), 후칭이(경북), 훅쟁이(경북), 훅징이-날(경북), 훅징이-알(경북), 훌쩡-쇄(경북), 훌쩡-쇠(경북), 흑지(경북), 흑지-날(경북), 흑짓-날(경북), 흑징이(경북), 쟁기-날(경상, 충청), 훌찡이(경상), 훌치이(경상), 훌칭이(경상), 보솝(전남, 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보숩(전남, 충북), 자래(전남), 보삽(제주, 충남, 함경), 요리(제주), 고십(충남), 보서기(충남), 보시(충남), 뵈십(충남), 흙정이-날(충남), 흑징이-날(충북), 날포(충청), 부삽(평남), 보기(평안), 보쉽(평안), 가락-날(함남), 보탑(함남), 보셉(함북, 중국 길림성), 보셥(함북)
옛말
보십,

역사 정보

보십(16세기~18세기)>보습(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보습’의 옛말인 ‘보십’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훈몽자회≫나 17세기 ≪역어유해≫에 ‘보’라는 단어가 ‘보십’과 함께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보십’은 명사 ‘보’와 ‘십’이 결합한 합성어일 가능성도 있으나 ‘십’의 의미나 기능은 확인할 수 없다. 19세기에는 ‘ㅅ’ 아래에서 제2음절의 모음 ‘ㅡ’가 ‘ㅣ’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보습’ 형태가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보십, 보습
세기별 용례
16세기 : (보십)
보십  ≪1576 신증 상:28ㄴ≫
17세기 : (보십)
보십 農器 犁耳 ≪1657 어록-초 26ㄱ
犂兒 보 犂頭 보십  박 나모 犂底兒 보십  박 나모 犂鏵兒 보십  ≪1690 역해 하:7ㄴ
18세기 : (보십)
犁兒 보십1748 동해 하:2ㄱ
19세기 : (보습)
보습 犁 보자락 ≪1880 한불 336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