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베짱이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학명
- Hexacentrus unicolor
- 「001」여칫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3~3.6cm이며 옅은 녹색이나 드물게 갈색도 있다. 머리는 삼각형이고 빛깔은 누런 갈색이며, 앞가슴의 등 쪽에는 갈색의 굵은 줄무늬가 있다. 산란관은 길고 칼 모양이며 더듬이는 갈색이고 몸보다 길다. 인가 근처의 풀숲 속에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낙위(絡緯), 등불-베짱이(燈불베짱이), 사계(梭鷄/莎鷄), 홍-낭자(紅娘子), 회화아(灰花蛾)
- 지역어(방언)
- 베짜개(강원), 베짜이(강원, 경상, 전북, 충청), 베째이(강원, 경북, 충남), 황-개미(강원), 베쨍이(충남), 왕-땅개(충남), 파뚱이(평북), 찍찍이(황해)
- 옛말
- 뵈이
역사 정보
뵈이(15세기)>뵈이(17세기)>뵈이(18세기~19세기)>볘이(19세기)>베짱이(20세기)
설명 | 현대 국어 ‘베짱이’의 옛말인 ‘뵈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뵈이’는 ‘베01’의 옛말인 명사 ‘뵈’에 동사 ‘짜다01’의 옛말인 ‘-’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는 표기에 ‘ㆁ’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ㅇ’을 사용하게 되어 17세기 이후로는 ‘뵈이’로 표기되었다. 17세기 문헌에는 ‘뵙장이’의 예도 보이는데, 이는 제2음절의 어두자음군 ‘ㅶ’의 ‘ㅂ’을 앞 음절의 종성에 표기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지고 된소리로 바뀜에 따라 18세기에는 제2음절의 초성이 ‘ㅈ’의 된소리가 된 ‘뵈짱이’ 형태가 등장하였다(19세기 문헌에 보이는 ‘뵈이’의 ‘ㅾ’도 ‘ㅈ’의 된소리를 표기한 것이다). 이후 ‘묏도기>메기, 뫼초라기>메추라기’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제1음절의 모음이 ‘ㅚ>ㅔ’의 변화를 겪어 현대 국어와 같은 ‘베짱이’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뵈이, 뵈이, 뵙장이, 뵈짱이, 뵈이, 볘이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