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버짐

- 품사
- 「명사」
- 분야
-
『한의』
- 「001」백선균에 의하여 일어나는 피부병. 마른버짐, 진버짐 따위가 있는데 주로 얼굴에 생긴다.
- 버짐이 피다.
- 달처럼 둥글둥글하던 얼굴은 메주처럼 길어지기만 했고, 메주에 곰팡이 슬듯, 허연 버짐이 더께더께 번져 있는 것이었다.≪김승옥, 동두천≫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선창(癬瘡)
- 지역어(방언)
- 버검(강원), 버점(강원, 경상, 전남), 버즘(강원, 경남, 제주), 버지미(강원, 평북, 함남, 중국 흑룡강성), 보듬(강원, 경기, 전남, 충청, 중국 길림성), 보짐(강원, 경기, 중국 길림성), 헤기(강원), 버듬(경기, 전북, 충청), 기계-똥(경남), 기계-버짐(경남), 버슴(경남), 버심(경남), 소-버섬(경남, 중국 흑룡강성), 힌-버짐(경남), 버씁(경북), 버잠(경북), 버찜(경북), 버치(경북), 벗섬(경북), 비짐(경북, 전남), 뽀해기(경북), 버섬(경상), 버섯(경상), 버슷(경상, 중국 흑룡강성), 버줌(경상, 제주, 평안), 비점(전남), 비접(전남), 버딤(전북), 베짐(전북), 버좀(제주), 도장-병(충남), 바른-버짐(충남), 버덤(충남), 버드름(충남), 베찜(충남), 버둠(충북), 버집(충북), 뵈짐(충북)
- 옛말
- 버즘
역사 정보
버즘(15세기~19세기)>버짐(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버짐’의 옛말인 ‘버즘’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 ‘ㅈ, ㅊ’ 뒤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버짐’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버즘, 버짐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