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멍에

- 품사
- 「명사」
- 「002」쉽게 벗어날 수 없는 구속이나 억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의 출생의 멍에는 무겁고도 가혹한 것이었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머에(강원, 경상, 전라, 제주, 충청,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머헤(강원, 전남), 멍(강원, 전남), 멍지(강원, 경기, 평안, 함경), 몽에(강원, 경기, 경상, 충북), 어넹이(강원), 멍아(경기), 몽지(경기), 모에(경남), 세-멍어(경남), 세-멍에(경남), 소-멍에(경남, 전남), 소-몽에(경남), 머거리(경북), 머구니(경북), 머구리(경북), 머이(경북, 전남, 충남), 멍게(경북), 멍구리(경북), 멍기(경북), 멍이(경북, 전남, 충청, 함남), 메에(경북), 밍게(경북), 소-멍방(경북), 질매(경상), 멍우(전남), 쇠-몽에(전남), 멍에-낭(제주), 쉐-멍에(제주), 멍오(충남), 명게(충남), 멍예(평북)
- 옛말
- 머
역사 정보
머(15세기)>에(15세기)>멍에(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멍에’의 옛말인 ‘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머’의 제2음절 초성 ‘ㆁ’이 제1음절 종성에 적힌 ‘에’도 15세기에 ‘머’와 공존하였다. 17세기 이후로 종성의 ‘ㆁ’을 ‘ㅇ’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에’는 ‘멍에’로 표기되었으나, 소리에는 변함이 없었다. 17세기에 ‘멍에’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머, 에, 멍에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관용구멍에(를) 메다[쓰다]
- 마음대로 행동할 수 없도록 얽매이다.
- 우리 할아버님 세대는 식민지 백성이라는 멍에를 메고 고통 속에서 사셨다.
- 그는 백정이라는 멍에를 쓰고 평생을 온갖 천대와 멸시 속에서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