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길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4」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삶이나 사회적·역사적 발전 따위가 전개되는 과정.
이제까지 살아온 고단한 .
인류 문명이 발전해 온 길을 돌아본다.
내가 살아온 길은 영광스러운 것이었다.
이 중의 소수 그룹은 그 뒤에도 정부 관료로 남아 출세의 길을 달릴 수 있었으나, 대부분은 나름대로의 뚜렷한 역사의식이 없는 데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지금까지 내 자신이 걸어온 길은 확실히 내가 선택하여 걸어온 길이다.≪지명관, 인간에 관한 단장≫

역사 정보

긿(15세기~19세기)>길(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길’의 옛말인 ‘긿’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긿’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으로 ‘긿/길’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그런데 15세기 문헌에 등장한 ‘길로’와 ‘길로’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이미 이 시기부터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길’이 쓰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문헌상으로는 19세기까지도 여전히 ‘긿’의 형태도 나타났다.
이형태/이표기 긿, 길
세기별 용례
15세기 : (긿, 길)
뒤헤는 모딘 도 알 어드 길헤 업던 번게를 하히 기시니 ≪1447 용가 30
복화 션 길콰 외얏 션 길히  비록 오라나 梔子와 紅椒와 고온 비치 殊異도다 ≪1481 두시-초 15:15ㄱ
福이 다면 도라 려 맨 受苦 길로 가니 ≪1447 석상 3:34ㄱ
四海 平定샤 우희 糧食 니저니 塞外北狄인 아니 오리가 ≪1447 용가 53
 살로 두 샐 쏘시니  百姓이 큰 功 일우니 ≪1447 용가 57
길로 녜 天子 갈 제 西郊애 되 正히 어즈럽더라 ≪1481 두시-초 3:22ㄴ
흰 繡衣 니븐 郎이 타 交河ㅅ 길로 向놋다 ≪1481 두시-초 22:30ㄴ
16세기 : (긿, 길)
마 이리 길히 어렵거니 우리 아란 밧 일 업거니 므스므려 일 녀리오 ≪1510년대 번노 상:30ㄴ-31ㄱ
내  버디 디여 올 내 조차 날회여 녀 기들워 오노라 니 ≪1510년대 번노 상1:ㄴ
17세기 : (긿, 길)
사 야 길헤 딘 초혜  글 어더 오라 야 ≪1608 언태 28ㄱ
새 니 길흐로셔 오놋다 ≪1632 두시-중 15:18ㄴ
져고맛 길로 지븨 올오미 녜 기우디 아니더니 ≪1632 두시-중 15:22ㄱ
18세기 : (긿, 길)
우리 이 두 사의 갈 길히 어 다라 호료 ≪1721 오륜전비 4:33ㄴ
군 패고 힘이 진여셔 이곳에 니러 갈 길이 업스니 ≪1703 삼역 9:10ㄱ
네 올 엇디 京城에 가지 아니엿뇨 길에 盤纏이 艱難니 엇지 가리오 ≪1765 박신 2:57ㄱ
19세기 : (긿, 길)
마다 예루사름에 가 쳠례실 길히 멀기 비록  리로 ≪1865 주년 50ㄴ
집이 멀어 도라갈 길이 업지라 ≪1852 태상 1:17ㄴ

관용구·속담(2)

관용구길을 열다
방도를 찾아내거나 마련하다.
  • 장학 제도는 학비가 없는 학생들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 주기 위한 것이다.
관용구길이 열리다
어떤 일을 하게 되거나 전망이 보이다.
  • 남과 북은 통일의 길이 열리도록 서로 협력해야 한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과정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ㅅ(4)ㄲ(1)ㅇ(2)ㅁ(1)ㄷ(1)ㅂ(1)ㅍ(2)ㅎ(4)ㅈ(4)전체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