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우리발음 듣기]
품사
「대명사」
「005」((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말.
우리 엄마.
우리 마누라.
우리 신랑.
우리 아기.
우리 학교 교정은 넓지는 않지만 깨끗하다.
시간 나면 언제 우리 집에 한번 들르세요.
우리 공주님 오셨구나, 혁아, 군고구마 좀 가져오렴.≪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저런 고얀 놈 봤나. 네 따위가 감히 우리 가문을 능멸하려 들다니.≪박완서, 미망≫
우리 동생을 형님이 장가들여 주시는 셈 치고 애를 좀 많이 쓰시구려.≪안정효, 하얀 전쟁≫
알고 봤더니, 그분이 우리 고향 사람이에요. 고향의 알 만한 사람이더라, 그 말이에요.≪이호철, 문≫
다음 날로 우리 가족은 마을을 떠났다. 세간살이들과 함께 짐차 위에 실린 나는 기분이 썩 좋았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관련 어휘

준말
낮춤말
저희

역사 정보

우리(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우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우리’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우리
세기별 용례
15세기 : ((우리))
執杖釋이 닐오 우리 家門앤 조 야 사회 맛니다 ≪1447 석상 3:12ㄱ
16세기 : ((우리))
올니 우리 어버 나를 야 호라 시다 ≪1510년대 번노 상:6ㄱ
17세기 : ((우리))
杞를 折티 말올 어다 엇디 敢히 愛리오 우리 父母를 畏얘니라 ≪1613 시언 4:14ㄴ
18세기 : ((우리))
형아 萬福 형아 萬福 아디 못게이다 형이 우리 두 아 브시니 므 일이 잇니잇고 ≪1721 오륜전비 1:2ㄴ
19세기 : ((우리))
아 놀 드시니 오 우리 뭇 셩을 셔게 호미 님금의 공이 아니니 ≪1832 십구 1:12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상위어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저희낮춤말반대말높임말우리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