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나다발음 듣기]
활용
나[나발음 듣기], 나니[나니발음 듣기]
품사
「보조 동사」
「032」(동사 뒤에서 ‘-고 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말.
아이들이 모두 집에 돌아가고 나니 마음이 허전했다.
일을 마치고 나니 기분이 상쾌해졌다.
정옥이는 남편을 뚝 떠나보내고 나니, 그야말로 시원섭섭하였다.≪염상섭, 올수≫

역사 정보

나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나다)
살 든 굼긔셔 미 나아 우므리 외니 마시 수을 더니 머그면 病이 다 됴터라 ≪1447 석상 3:14ㄴ
이운 남 고지 나아 各別 이보미니라 ≪1482 금삼 2:71ㄴ
16세기 : (나다)
셩이 브면 각니 각면 어딘 이 나고 편안면 음탕니 ≪1588 소언 4:45ㄱ
17세기 : (나다)
신장의 들면 귀 알하 고롬미 나고 폐장의 들면 기춤 깃고 담 셩니라 ≪1608 언두 상:42ㄱ
18세기 : (나다)
텨 傷 곳은 皮膜이 서  손으로 딥흐면 소 나고 더운 초로 덥흐면 흔젹이 잇니라 ≪1792 무원 3:19ㄴ≫
19세기 : (나다)
대뎌 나라의 부셰 셩의게셔 나고 셩의 먹 거 토디의셔 나니1883 이언 1:46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