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구ː원

- 품사
- 「명사」
- 「007」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구하여 줌.
- 구원 요청.
- 구원의 손길.
- 구원을 받다.
- 구원을 청하다.
- 한없이 기다리지만 어쩐지 구원의 기차는 오지 않을 것만 같았고, 탈출의 순간은 자꾸 늦어지기만 했다.≪안정효, 하얀 전쟁≫
- 그녀의 마음은 어떻게 대답을 해야 좋을지 몰라 갑자기 허둥거리기 시작했다. 그때 구원처럼 떠오른 말이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 그래, 구원이야. 얼핏 보기엔 세상 끝 날까지 구원받을 여지가 없어만 보이던 그한테서 한 가닥 구원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난 지금, 난 이루 말할 수 없이 기뻐.≪윤흥길, 묵시의 바다≫
- 그 선원과 아내는 서로가 서로에게 기다리는 존재가 되며, 그 기다림은 그들에게 하나의 약속과 구원과 미래가 된다.≪유홍종, 내 첫사랑 주희 누나, 문학 사상사, 1992년≫
- 내 문학은 내 자신의 구원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소설 쓰는 일은 내 생활 전부를 지배하는 중심원이라고 할 수 있다.≪전상국, 소설 창작 강의, 문학 사상사, 2004년≫
- "이러다가 모든 것이 결단 날 것 같아서 죄송한 마음을 무릅쓰고 강 선생님께 또 한 번 구원을 청하자고 생각했어요."≪유재용, 아버지의 강, 문학 사상사, 1986년≫
- 외딴 오두막집이라 누구에게 그동안 구원을 청할 겨를도 없었다가 비로소 마을로 내려와서 나이든 분에게 도와달라고 하였다.≪최래옥, 맏딸과 함께 춤을, 집문당, 1994년≫
- 뒤를 따르는 구둣발 소리가 들려왔다. 걸음아 나 살려라 하는 식으로 무작정 도망을 쳐야 하는지, 아니면 무조건 고함을 냅다 질러 구원을 요청해야 하는지 그녀는 도무지 분간이 안 갔다.≪정종명, 숨은 사랑, 동아 출판사, 1993년≫
- 거의 모든 아이들에게 어머니는 이 세상에서 단 하나 기댈 언덕이요 구원의 손길이다.≪이오덕,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 보리 출판사, 1993년≫
- ‘문학만이 유일한 구원’이라며 학교 도서관에 있는 국내외 소설을 모조리 독파하겠다는 만용을 부리기도 했다.≪한겨레신문 2001년 1월≫
- 삶과 인간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돋보이는 이 영화는 핵 시대의 공포와 그 구원에 대한 묵시록적인 기록이 시처럼 펼쳐지는 작품이기도 하다.≪스크린 1994년 4월≫
역사 정보
구완(16세기~19세기)>구원(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구원’의 옛말인 ‘구완’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구완’은 중국어 ‘구원(救援)’에서 온 차용어로 추정된다. 18세기부터 ‘구원’으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구환’은 근대 국어 시기에 모음과 모음 사이에 존재하는 ‘ㅎ’이 탈락하였는데 이러한 변화를 의식하여 ‘구완’이 ‘구환’에서 변화한 것으로 잘못 이해하여 과도 교정한 것으로 이해된다. |
---|---|
이형태/이표기 | 구완, 구환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구원이 우환이라
- 남을 구원하여 준 것이 오히려 큰 우환거리가 되었다는 뜻으로, 남이 잘되도록 해 준다는 것이 그만 좋지 않은 결과를 낳은 경우에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