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시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물고기의 잔뼈.
생선의 가시를 발라내어서 먹다.
청어는 가시가 많아 먹기가 불편하다.
생선을 먹다가 목에 가시가 걸렸다.
나는 목에 생선 가시 걸린 것처럼 목을 길쭉이 빼든 채 말을 못했다.≪최정희, 천맥≫
굴비 가시를 오독오독 깨물어 먹으면서 제 아비는 밥을 먹는 건지 잔소리를 하려고 앉아 있는 건지 모를 정도로….≪강신항·정양완, 어느 가정의 예의범절≫
남들이 다 뱉는 가시 많은 생선, 힘줄이 많은 질긴 고깃덩이를 다오.≪이어령, 말로 찾는 열두 달, 문학 사상사, 2002년≫
아내는 그의 목구멍에 저녁에 먹은 생선 가시가 걸린 것이라고 생각했다.≪최인호, 이상한 사람들, 문학 사상사, 1986년≫

역사 정보

가(15세기~19세기)>가싀(17세기~19세기)>가시(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시’의 옛말인 ‘가’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6세기 이후로 비어두음절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현상에 따라 17세기에는 ‘가>가싀’의 변화가 일어났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으로 인해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가시’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가, 가싀, 가시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가)
棘草 가와 프귀왜라 ≪1459 월석 10:117ㄴ
가 해 들며 시혹 바와 가와 대와 나모 여러 날 나디 아니야 알닐 고툐 ≪1466 구방 하:2ㄱ
16세기 : (가)
가  棘 가 극 ≪1527 훈몽 상:5ㄴ
17세기 : (가, 가싀)
비한면 몸을 며 터럭기 가 고 ≪17세기 마경 상:36ㄱ
魚刺兒 고기ㅅ 가1690 역해 하:38ㄴ
嗓子閣刺 목에 가싀 걸리다 ≪1690 역해 하:53ㄴ
18세기 : (가, 가싀)
가 덤블을 헤티고 효의 집에 니니 ≪1797 오륜 효:61ㄱ
가싀 덤불이 네 녁 막히여 분변 길히 업니 ≪1797 오륜 열:50ㄴ
刺子 가싀 戳刺 가싀 바키다 ≪1748 동해 하:8ㄴ
19세기 : (가, 가싀, 가시)
물이 을 찌이 이 니 가라 닐이 가치 아니냐 ≪1892 성직 96ㄴ
길 걸니 가싀남글 버히며 길 것치 돌을 업시 며 ≪1876 남궁 8ㄴ
가시 荊棘 荊榛 ≪1895 국한 3

다중 매체 정보(1)

  • 가시

    가시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잔뼈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가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