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차조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001」찰기가 있는 조. 열매가 잘고 빛깔이 노랗고 약간 파르스름하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조(17세기~18세기)>조(17세기~18세기)>차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차조’의 옛말 ‘조’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조’는 접사 ‘-’과 명사 ‘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그런데 ‘조’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 ‘조’이므로 17세기에 ‘조’가 나타났다는 것은 최소한 그 이전에 ‘조’가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문헌상에서 나타나지 않더라도 ‘조’는 17세기 혹은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고 보아야 한다. ‘조’는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나타난다. ‘ㆍ’의 완전한 소실로 20세기 이후에는 ‘차조’로 표기되고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조, 조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차조 심으나 마나
- 차조를 심은 것은 조차떡이나 차조밥 또는 색다른 음식을 하여 먹자는 것인데 그런 음식은 구경조차 할 수 없게 되었다는 뜻으로, 애써 한 일이 아무런 보람도 없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