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집씬

- 품사
- 「명사」
- 「001」볏짚으로 삼아 만든 신. 가는 새끼를 꼬아 날을 삼고 총과 돌기총으로 울을 삼아 만든다.
- 짚신 한 켤레.
- 짚신 한 죽.
- 짚신을 삼다.
- 짚신을 끌다.
- 순이는 때 묻은 삼베 치마저고리를 입고 짚신을 신고 있었는데 그 짚신은 날이 터져 맨발이나 마찬가지였다.≪이병주, 지리산≫
- 꼭 금기를 지켜서가 아니라, 영등바람이 드세게 불면 방에 들어앉아 새끼 꼬거나 짚신 삼는 일밖에 할 수 없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벳짚-신(강원, 함남), 집-세기(강원, 경기, 경북, 전라, 충청, 황해), 짚-서기(강원, 경기, 충북), 짚-석(강원, 경기, 전라, 충남), 짚-시기(강원, 경상, 전라, 충북, 중국 길림성), 초-신(강원, 경기, 경상, 제주, 충청, 평안, 함경, 황해,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최-신(강원, 함남), 짓-석(경기), 메신(경남), 조리(경북), 집-사개(경북), 집씨개(경북), 짚-시개(경북), 미-신(경상), 집-시기(경상, 전남, 충청), 지풀-떼기(전남), 깊-시기(전북), 찍-신(제주), 찝-세기(제주), 찝-신(제주), 집-쇄기(충남), 찦-세기(충청, 중국 길림성), 마-컬레(평남), 딮-세기(평북), 벳딮-신(평북), 닾-신(평안, 함북), 덮-신(평안), 딮-신(평안, 함북, 중국 요령성), 사-신(함경), 모개-신(함남), 멕-시니(함북), 멱-시니(함북)
- 옛말
- 집-신
어원
<집신<계축>←짚+신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8)
- 속담짚신도 제날이 좋다
- 짚신의 씨가 짚이면 날도 짚이 좋다는 뜻으로, 무엇이든지 분수에 알맞은 것이 가장 좋다는 말. 특히 분수에 맞는 배필을 구하는 것이 좋다는 말이다. <동의 속담> ‘세코짚신에는 제날이 좋다’
- 속담짚신도 제짝이 있다
- 보잘것없는 사람도 제짝이 있다는 말. <동의 속담> ‘헌 고리[짚신]도 짝이 있다’
- 속담짚신 벗어 꽁무니에 찼다
- 몹시 바쁘게 꽁무니를 뺄 준비를 갖추는 경우를 비꼬는 말.
- 속담짚신에 국화 그리기
- 거칠게 만든 하찮은 물건에 고급스러운 물건을 사용한다는 뜻으로, 격에 어울리지 않는 모양이나 차림새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석새짚신에 구슬 감기’
- 속담짚신에 분칠하기
- ‘짚신에 국화 그리기’의 북한 속담.
- 속담짚신엔 새끼 날이 좋다
- ‘짚신도 제날이 좋다’의 북한 속담.
- 속담짚신을 거꾸로 끌다
- 반가운 사람을 맞으려고 허둥지둥 정신없이 뛰어나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짚신을 뒤집어 신는다
- 짚신을 오래 신기 위하여 골고루 해어뜨리려고 뒤집어서 신는다는 뜻으로, 몹시 인색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