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주추똘


- 품사
- 「명사」
- 분야
-
『건설』
- 「001」기둥 밑에 기초로 받쳐 놓은 돌.
- 주춧돌을 놓다.
- 이 산을 조금만 더 올라가면 주춧돌만이 여러 개 남아 있는 절터가 있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쥐칫-돌(강원, 함경), 지춧-돌(강원, 평안), 집-돌(경기), 주줏-돌(경남), 주칫-돌(경남), 추치-돌(경남), 추칫-돌(경남), 주쳇-돌(경북, 전라), 주촛-돌(柱礎돌)(경북, 충북), 주축-돌(경북, 중국 흑룡강성), 주치-돌(경북, 함경, 중국 길림성), 지초-돌(경북), 지추-돌(경북), 지치-돌(경북, 전라, 평안,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지칫-독(경북, 전남, 평남, 황해), 지칫-돌(경북), 주췻-독(전남), 줌찡-돌(전남), 쥐칫-독(전남), 지슬-독(전남), 지추-독(전남), 지춧-독(전남), 주춧-독(전라, 충남), 주칫-독(전라), 쥐취-돌(전라, 중국 길림성), 주촛-독(柱礎독)(전북), 추젯-돌(전북), 주툿-돌(제주), 지줏-돌(제주), 지툿-돌(제주), 기초-돌(함경, 중국 길림성), 쥐치-돌(함남), 지췻-돌(함남)
역사 정보
쥬츄돌(17세기)>쥬츄ㅅ돌(18세기)>주초돌(19세기)>주춧돌(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주춧돌’의 옛말인 ‘쥬츄돌’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쥬츄돌’은 한자어 ‘주추’(柱礎)와 ‘돌’이 결합된 것으로 ‘쥬추’는 ‘주추’(柱礎)를 당시 한자음으로 표기한 것이다.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쥬츄ㅅ돌’은 ‘쥬츄’와 ‘돌’ 사이에 사이시옷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쥬츄ㅅ돌’은 치음이었던 ‘ㅈ’과 ‘ㅊ’이 근대 국어 시기에 구개음으로 바뀌어 ‘쥬’와 ‘주’, ‘츄’와 ‘추’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20세기 이후 ‘주춧돌’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쥬츄돌, 쥬츄ㅅ돌, 주초돌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