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하나

- 품사
- 「명사」
- 「002」뜻, 마음, 생각 따위가 한결같거나 일치한 상태.
- 뜻을 하나로 모으다.
- 우리의 마음이 하나로 뭉치다.
- 우리 모두 하나가 되어 이 나라를 지킵시다.
- 원과 한이 맺힌 백성들의 혼불은 바로 방방곡곡에서 일어났고, 지금 십 수만의 불덩이가 하나가 되어 도도히 움직이고 있었던 것이다.≪유현종, 들불≫
- 통일이 갈라진 민족이 하나가 되는 것이며, 그것이 민족사의 전진이라면 당연히 모든 가치 있는 것들은 그 속에 실현될 것이다.≪이호철, 문≫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낳(15세기~19세기)>나(18세기~19세기)>하나(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하나’의 옛말인 ‘낳’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낳/나’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 -곰’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고,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이었다. 이러한 ㅎ의 흔적은 현대 국어 구어의 “하나토 없다”와 같은 발음에 남아있다. 18세기에 끝소리 ㅎ이 탈락한 ‘나’의 예가 나타나기 시작하나, ‘낳’ 형태 역시 19세기까지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함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하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한편 15세기~19세기에는 제2음절의 초성 ㄴ의 영향으로 제1음절에 종성 ㄴ이 첨가된 ‘낳, 나, 한낳, 한나’의 예도 나타났는데, ‘낳/나’의 경우는 이미 16세기부터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예도 보인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
---|---|
이형태/이표기 | 낳, 나, 하낳, 하나, 낳, 나, 한낳, 한나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관용구하나 가득
- 분량이나 수량이 정하여진 한도에 가득하게.
- 사과를 바구니에 하나 가득 담아서 이웃에게 주었다.
- 관용구하나로 잇닿아 있다
- 서로가 떼려야 뗄 수 없이 연결되어 있다.
- 관용구하나부터 열까지
- 어떤 것이나 다.
- 생각할수록 하나부터 열까지가 모두 분하고, 한스럽기만 했다. ≪하근찬, 분≫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