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성-하다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성ː하다발음 듣기]
활용
성하여(성해), 성하니
품사
「형용사」
「004」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화학 공업이 성한 지역.
완도에는 김 양식이 성하다.
이 지역에는 목축이 성하며 양털과 가죽이 많이 생산된다.
일전에 남선 일대를 여행하면서 보았는데요, 해변 소도시에선 어업이 성하니까 그물 짜는 공장이 있었어요.≪박경리, 토지≫
그런 양말 공업이 평양을 중심으로 성하단 소리를 듣고 종상이는 직접 현장을 가 보기로 했고….≪박완서, 미망≫
영동 지방은 다른 지방보다 미신이 성한 곳이지요.≪윤후명, 별보다 멀리≫
이 근방에는 농사가 거의 논농사뿐이라, 어느 지방보다 두레가 성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셩다(16세기~19세기)>셩하다(19세기)>성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성하다’의 옛말인 ‘셩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한자어 ‘셩’과 ‘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말인데 ‘셩’은 근대 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 등이 반모음 탈락으로 단모음화 하는 현상에 따라 ‘셩’이 ‘성’으로 바뀌고 ‘다’도 현대 맞춤법이 확산됨에 따라 ‘하다’로 바뀌어 현재의 어형으로 정착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셩다, 셩하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셩다)
기 됴면 남기 셩고 기 마면 남기 이우니 ≪1518 정속-이 18ㄴ
17세기 : (셩다)
독긔 장 셩모로 수이 돋니 ≪1608 언두 상:17ㄱ
18세기 : (셩다)
삼복녀의 모딘 더위 셩거 약방이 경연 긋치시 쳥대샹이 ≪선조행장032≫
19세기 : (셩다)
부귀와 공명이 날노 더브러 셩다가 오래지 아냐 겨을이 훌연이 니면 ≪1892 성직 1:15ㄴ
셩다 盛 ≪1880 한불 402
셩하무로써 입 맛추와 서로 문안하라 ≪1887 성전 고린도후서 13:13
그 죽음으로 말무암아 육신으로 화목하여써 셩하여 허물 업스며 ≪1887 성전 골로새서 1:2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