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적쌈

- 품사
- 「명사」
- 「001」윗도리에 입는 홑옷. 모양은 저고리와 같다.
- 누런 무명 적삼에 검정 통치마를 입은 엄마가 이쪽을 바라보다 걸음을 멈추었다.≪김원일, 노을≫
- 벌써 모시 적삼 등허리는 땀이 축축이 배었다.≪이기영, 고향≫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젹삼(15세기~19세기)>적삼(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적삼’의 옛말인 ‘젹삼’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넘어가던 시기에 치음이었던 ‘ㅈ, ㅊ’이 구개음으로 바뀌면서 ‘져’와 ‘저’의 발음이 같아졌다. 그리하여 ‘젹삼’과 ‘적삼’의 발음이 같아져 17세기에 ‘적삼’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젹삼, 적삼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적삼 벗고 은가락지 낀다
- 격에 맞지 아니한 짓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속곳 벗고 은가락지 낀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