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가미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001」물속에서 사는 동물, 특히 어류에 발달한 호흡 기관. 붉은 참빗 모양으로 여러 갈래로 잘게 나뉘는데, 그 속의 혈관에 흐르는 피와 물이 접하여 가스 교환이 이루어진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구시레미(강원, 전남), 메감지(강원), 서거리(강원), 서버리(강원), 써개비(강원), 써거리(강원), 아감지(강원, 경기, 경남, 전남), 아개미(강원, 경기, 경남, 전라, 충남, 함북), 아그빠리(강원), 아금지(강원, 평북, 함남, 중국 요령성), 저버리(강원), 구세미(경기, 전라, 충남), 구주래미(경기), 귀섬지(경기), 벌터가니(경기), 벌터구니(경기), 아굼(경기), 아귀(경기), 아그미(경기, 전남, 충청), 날가미(경남), 날감치(경남), 날개미(경남, 전북), 아검지(경남), 아굼바데(경남), 아굼지(경남), 알가미(경남, 전남, 제주), 알감지(경남, 전라), 알개미(경남, 전남), 수군티(경북), 수태(경북), 순태-기(경북), 숨(경북, 중국 흑룡강성), 숨-테기(경북), 숨-통(경북, 충청), 아가리(경북, 충남), 아감바지(경북), 아금(경북), 입(경북, 충북), 날감지(경상), 순태(경상), 구섀미(전남), 구섬치(전남), 구성뎅이(전남), 구시래미(전남), 구시런땡이(전남), 구시렁뗑이(전남), 귀성댕이(전남), 귀성탱이(전남), 귀세미(전남), 아감치(전남), 아골텡이(전남), 아굴텡이(전남), 아올가지(전남), 알감치(전남), 구시렁-탱이(전라), 아골-뎅이(전라), 나비(전북), 날비(전북), 미우(전북), 아가지(전북), 아갈치(전북), 인나부리(전북), 구셍이(제주), 아구-셍이(제주), 아구리(제주), 아오-셍이(제주), 아우-셍이(제주), 어우생이(제주), 어우셍이(제주), 숨-구멍(충남), 아기미(충남), 야관주(충남), 괴기-이리(충북), 뀌(충북), 아구미(충북), 기지내(평북, 중국 요령성), 구내지(평안, 중국 요령성), 수메(함경), 서부치(함남, 중국 흑룡강성), 아굼치(함남), 자가미(함남), 지내미(함남, 중국 흑룡강성), 저꼬리(함북, 중국 길림성), 저꿰리(함북, 중국 길림성), 구설미(황해), 구시미(황해), 국시미(황해), 귀설미(황해)
- 옛말
- 쟈감이
역사 정보
아감이(17세기~18세기)>아감(19세기)>아가미(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가미’의 옛말인 ‘아가미’는 17세기 문헌에 ‘아감이’로 나타난다. ‘아감이’는 “턱”을 뜻하는 ‘악’에 “입”을 뜻하는 접미사 ‘-암’이 결합된 ‘아감’에 다시 접미사 ‘-이’가 결합된 것이다. 접미사 ‘-암/엄’은 ‘무덤’, ‘주검’에서 볼 수 있듯이 주로 동사 어간에 결합되는데 여기서는 명사 ‘악’에 결합된 것이 특이하다. 현대 국어의 ‘아가미’는 ‘아감이’를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은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아감이, 아감, 아감지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