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임ː자

- 품사
- 「명사」
- 「001」물건을 소유한 사람.
- 이 밭의 임자가 누구요?
- 할머니가 또 임자 없는 닭을 잡아 온 것이다.≪오정희, 유년의 뜰≫
- 묏자리를 잡을 만한 곳은 이미 모두 자리가 잡혀졌고, 설사 아직 그런 곳이 남아 있다 하여도 임자 없는 땅이 있을 리 없었다.≪이청준, 선학동 나그네≫
- 대장간 임자 박 서방도 불간 속에 쇠붙이를 넣으며 석이를 힐끗 쳐다본다.≪박경리, 토지≫
- 이장은 입고 있는 옷의 임자를 따라 김 무슨 이등병으로 행세했습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임재(강원, 경상, 전라, 제주), 님자(경북, 평안), 님재(평북)
- 옛말
- 님잫
역사 정보
님잫(15세기~17세기)>님자(17세기~18세기)>임자(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임자’의 옛말인 ‘님잫’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님잫’은 ‘ㅎ’ 종성 체언으로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이 올 때에는 ‘ㅎ’이 나타나나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말이 오거나 음절 말에서는 ‘ㅎ’이 쓰이지 않았다. 17세기 들어 ‘ㅎ’이 탈락한 ‘님자’가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 앞에서도 쓰인다. ‘님자’의 제1음절 ‘님’은 근대 국어 시기에 ‘ㅣ’ 모음 앞에 ‘ㄴ’이 올 수 없게 됨에 따라 ‘임’으로 바뀌어 ‘임자’가 되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19세기 문헌에 ‘님’, ‘님쟈’, ‘임쟈’와 같이 제2음절이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것은 ‘ㆍ’의 음가가 소실되고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자’와 ‘쟈’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님잫, 님자, 님쟇, 님, 님쟈, 임자, 임쟈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관용구임자(를) 만나다
- 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적임자와 연결되어 능력이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되다.
- 구석에 처박혀 있던 그 물건이 오늘에야 임자를 만나 그 진가를 발휘했다.
- 호랑이 같은 체육 선생님께 걸렸으니 임자를 만났군.
- 속담임자 없는 용마
- 쓸모없고 보람 없게 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날개 없는 봉황’ ‘구슬 없는 용’ ‘꽃 없는 나비’ ‘물 없는 기러기’ ‘줄 없는 거문고’ ‘짝 잃은 원앙’
- 속담임자 잃은 논밭에 돌피 성하듯
- 일정한 관리나 감시, 통제가 없어 못된 것이 무성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