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임ː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물건을 소유한 사람.
이 밭의 임자가 누구요?
할머니가 또 임자 없는 닭을 잡아 온 것이다.≪오정희, 유년의 뜰≫
묏자리를 잡을 만한 곳은 이미 모두 자리가 잡혀졌고, 설사 아직 그런 곳이 남아 있다 하여도 임자 없는 땅이 있을 리 없었다.≪이청준, 선학동 나그네≫
대장간 임자 박 서방도 불간 속에 쇠붙이를 넣으며 석이를 힐끗 쳐다본다.≪박경리, 토지≫
이장은 입고 있는 옷의 임자를 따라 김 무슨 이등병으로 행세했습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역사 정보

님잫(15세기~17세기)>님자(17세기~18세기)>임자(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임자’의 옛말인 ‘님잫’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님잫’은 ‘ㅎ’ 종성 체언으로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이 올 때에는 ‘ㅎ’이 나타나나 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말이 오거나 음절 말에서는 ‘ㅎ’이 쓰이지 않았다. 17세기 들어 ‘ㅎ’이 탈락한 ‘님자’가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 앞에서도 쓰인다. ‘님자’의 제1음절 ‘님’은 근대 국어 시기에 ‘ㅣ’ 모음 앞에 ‘ㄴ’이 올 수 없게 됨에 따라 ‘임’으로 바뀌어 ‘임자’가 되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19세기 문헌에 ‘님’, ‘님쟈’, ‘임쟈’와 같이 제2음절이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것은 ‘ㆍ’의 음가가 소실되고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자’와 ‘쟈’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형태/이표기 님잫, 님자, 님쟇, 님, 님쟈, 임자, 임쟈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님잫))
大施主는 큰 布施 님자히라 논 마리라 ≪1447 석상 19:3ㄴ
이 一念 中에 님자 업수 歷歷이 보미 ≪1464 영가 상:104ㄱ
16세기 : ((님잫))
四大ㅣ 各離호매 님자히 업도다 ≪1579 선가 21ㄴ
내 너 위야 님자 어더 다 로마 ≪1510년대 번노 상:69ㄴ
17세기 : ((님잫, 님쟇, 님자))
님자히 업스니 ≪1632 두시-중 18:7ㄴ
王侯의 지븨 다 새 님재히오1632 두시-중 6:8ㄱ
모리털은 벅벅기 님자의게 니치 아니고 ≪17세기 마경 상:15ㄱ
18세기 : ((님자, 임자))
네 이  님자의 것가 ≪1790 몽노 5:19ㄱ
간난 사과 임자 업 시톄의 관곽 시쥬며 ≪1796 경신 78ㄱ
19세기 : ((님, 님쟈, 임쟈))
님 차 쥬려 거 ≪1852 태상 3:19ㄴ
님쟈 物主 ≪1895 국한 65≫
좌우 각 쳐에 임쟈 업 묵은 밧치 ≪1883 이언 1:47ㄱ

관용구·속담(3)

관용구임자(를) 만나다
어떤 사물이나 사람이 적임자와 연결되어 능력이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되다.
  • 구석에 처박혀 있던 그 물건이 오늘에야 임자를 만나 그 진가를 발휘했다.
  • 호랑이 같은 체육 선생님께 걸렸으니 임자를 만났군.
속담임자 없는 용마
쓸모없고 보람 없게 된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날개 없는 봉황’ ‘구슬 없는 용’ ‘꽃 없는 나비’ ‘물 없는 기러기’ ‘줄 없는 거문고’ ‘짝 잃은 원앙
속담임자 잃은 논밭에 돌피 성하듯
일정한 관리나 감시, 통제가 없어 못된 것이 무성하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