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성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노엽거나 언짢게 여겨 일어나는 불쾌한 감정.
성이 나서 펄펄 뛰다.
친구 간에 그런 일로 성을 내서 쓰겠나.
회초리를 들고 성을 낼 줄 알았는데, 선생님이 씩 웃는 게 아닌가.≪김원일, 노을≫

역사 정보

셩(15세기~19세기)>성(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성’의 옛말은 15세기 문헌에서 ‘’으로 나타난다. 이 말이 ‘ㅅ’ 아래에서 ‘ㅕ’의 반모음 ‘ㅣ’가 탈락하여 ‘ㅕ>ㅓ’로 단순 모음화된 것이 오늘날의 ‘성’이다.
이형태/이표기
세기별 용례
15세기 : ()
瞋恚纏은  니 일후미 忿이오 ≪1463 법화 6:175ㄱ

관용구·속담(3)

관용구성이 독같이 오르다
성이 머리끝까지 나다’의 북한 관용구.
관용구성이 만장같이 나다
성이 머리끝까지 나다’의 북한 관용구.
관용구성이 머리끝까지 나다
성이 몹시 치밀다.
  • 그는 성이 머리끝까지 나서 가방을 내던지고 밖으로 나가 버렸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감정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사감성품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