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미역발음 듣기]
활용
미역만[미영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생명』
학명
Undaria pinnatifida
「002」갈조류 미역과의 한해살이 바닷말. 잎은 넓고 편평하며, 날개 모양으로 벌어져 있고, 아랫부분은 기둥 모양의 자루로 되어 바위에 붙어 있다. 빛깔은 검은 갈색 또는 누런 갈색이고 길이는 1~2미터, 폭은 60cm 정도이다. 대체로 가을에서 겨울 동안 자라고 늦봄이나 첫여름에 홀씨로 번식한다. 예로부터 식용으로 널리 이용하였으며 요오드, 칼슘의 함유량이 많아 발육이 왕성한 어린이와 산부(産婦)의 영양에 매우 좋다. 간조선 이하의 바위에 떼 지어 붙어 사는데 한국의 남해안, 북해도, 중국 동부 해안 등에서 많이 난다.
미역을 따다.

역사 정보

머육(15세기~19세기)>메육(18세기)>메역(19세기)>미역(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미역’의 옛말인 ‘머육’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머육’에서 두 번째 음절의 이중모음 ‘ㅠ’의 영향으로 첫 번째 음절에 반모음 y가 첨가된 형태가 18세기에 등장한 ‘메육’이다. 18세기 말~19세기 초에 이중모음 ‘ㅔ’[əy]가 [e]로 단모음화 하고, 두 번째 음절의 모음 ‘ㅠ’가 ‘ㅕ’로 바뀐 ‘메역’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후 ‘메역’이 ‘ㅔ>ㅣ’의 고모음화를 거쳐 현재와 같은 ‘미역’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머육, 메육, 메역
세기별 용례
15세기 : (머육)
다마 머육 두 을 시서  맛 업게 고 ≪1489 구간 2:80ㄴ
16세기 : (머육)
잇다감 머육과 과 香을 가져다가 주더라 ≪1514 속삼 효:24ㄴ
17세기 : (머육)
海菜 머육1613 동의 2:36ㄱ
요이 高麗ㅅ 흐로셔 온 이 머육과 乾魚와 脯肉을 婆婆 주어 ≪1677 박언 중:17ㄱ
18세기 : (머육, 메육)
海菜 머육1748 동해 하:3ㄴ
메육과 乾魚와 肉脯 다 이 우리 집 太爺ㅣ 朝鮮으로셔 가져 온 거시매 ≪1765 박신 2:25ㄴ
19세기 : (머육, 메역)
머육 俗名 甘藿 (海菜) ≪1868 의종 부여:20ㄴ
조곽 條藿 메역1880 한불 570

다중 매체 정보(1)

  • 미역

    미역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