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무로리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001」오릿과의 새. 수컷은 머리와 목이 광택이 있는 녹색이고 흰 띠가 둘려 있으며 부리는 갈색, 꽁지는 흰색이나 암컷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며 어두운 갈색의 무늬가 있다. 농경지 등지에서 사는데 4월 하순에서 7월에 걸쳐 6~12개의 알을 낳는다. 남쪽에서 겨울을 보내며 우리나라에는 흔한 겨울새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의 북반구에 분포한다.
역사 정보
믓올히(16세기)>물오리(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물오리’의 옛말인 ‘믓올히’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믓올히’는 명사 ‘믈’에 관형격 조사 ‘-ㅅ’, 명사 ‘올히’가 결합한 구성으로, ‘-ㅅ’ 앞에서 어간말 자음 ‘ㄹ’이 탈락한 것이다. ‘믌결’이나 ‘믌고기’ 등에서 볼 수 있듯이 ‘ㄹ’이 탈락하지 않은 ‘*믌올히’ 형태도 나타났으리라 추정되나 실제 문헌에서는 예가 확인되지 않는다. 근대국어 시기에 ‘올히’가 ‘오리’로 변화하고, ‘믈’이 ‘물’로 바뀌는 원순모음화를 겪으면서 19세기에 ‘물오리’가 나타났는데, 이는 관형격 조사 ‘-ㅅ’ 없이 명사 ‘물’과 ‘오리’가 직접 결합한 합성어로 재구성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믓올히, 물오리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