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모심끼

- 품사
- 「명사」
- 분야
-
『농업』
- 「001」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일.
- 모심기가 끝난 지는 이미 오래되어 더러는 벌써 애벌 논매기까지 끝냈을 터였다.≪신상웅, 심야의 정담≫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모심기(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모심기’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모심기’는 ‘모’와 “심다”의 의미인 ‘시므다’의 이형태인 ‘-’이 접미사 ‘-이’와 결합한 ‘심기’가 결합한 것이다. ‘시므다’는 자음이나 매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시므-’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으로 나타나 ‘시므-/-’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시므다’는 18세기 이후 ‘심다’로 변화하였으므로, 현대 국어의 ‘모심기’는 ‘모’에 ‘심-’과 접미사 ‘-기’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도 있고, 15세기의 ‘모심기’가 굳어진 것으로 볼 수도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모심기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