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명주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명주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7」명주실로 무늬 없이 짠 천.
명주 서른 필.
명주 저고리.
명주 한 동.
윤 씨는 동온돌 넓은 방에서…금지옥엽 섬섬한 흰 손으로 주홍 베틀에 올라 명주를 짜고 계셨다.≪박종화, 금삼의 피≫

역사 정보

디(16세기)>명디(16세기~17세기)>명지(17세기)>명쥬(19세기)>명주(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명주’의 옛말인 ‘디’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디’는 16세기 이후 ‘ㆁ’ 표기를 쓰지 않게 되면서 ‘명디’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로 17세기에 ‘명지’로 나타난다. 19세기에는 ‘명지’의 제2음절 모음 ‘ㅣ’가 ‘ㅠ’로 변화한 ‘명쥬’가 나타난다.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쥬’와 ‘주’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쥬’가 ‘주’로 바뀌어 20세기 이후 ‘명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에 ‘디’와 같은 의미를 가진 ‘면듀’가 보이며(紬 {면듀} 듀 ≪1576 신합 상:25ㄴ≫ ) 여기에서 변화한 ‘면쥬’({綿紬} 면쥬 ≪1748 동해 하:24ㄴ≫)도 나타난다. 현대 국어에서 ‘명주’와 ‘면주’는 같은 말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이들이 각각 다른 한자어의 표기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명쥬’의 제1음절 종성 ‘ㅇ’과 ‘면쥬’의 제1음절 종성 ‘ㄴ’의 관계를 음운론적으로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형태/이표기 디, 명디, 명지, 명쥬
세기별 용례
16세기 : (디, 명디)
디 듀 ≪1527 훈몽 중:15ㄱ
보라온 디 깁  거로 에셔 무 피 죄 아니 스스미오 ≪16세기 장수 44ㄴ
명디 깁 며 다회  겨집의 이 화  衣服을 쟝만며 ≪1588 소언 1:7ㄱ
17세기 : (명디, 명지)
명지 쥬 紬 ≪1664 유합-칠 16ㄱ
피 나거든 보라온 명디로 스서 업시 고 ≪1608 언태 68ㄴ
그 남진이  명디 셜흔 필로 사 내니 그저긔 셕 엿더니 ≪1617 동신속 열6:71ㄴ≫
19세기 : (명쥬)
명쥬 明紬 ≪1880 한불 236
명쥬 明紬 ≪1895 국한 114
관련 정보 ‘명디’는 중국 차용어일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되기도 한다.

관용구·속담(3)

속담명주 고름 같다
성질이 매우 곱고 보드랍다는 말.
속담명주 바지에 똥싸개
겉보기에는 좋으나 속은 더럽고 보잘것없는 것을 이르는 말.
속담명주 자루에 개똥
겉치장은 그럴듯하나 실은 보잘것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