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서울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

역사 정보

셔(15세기)>셔욿(15세기~17세기)>셔울(15세기~19세기)>서울(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서울’의 옛말인 ‘셔’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에는 단독으로 쓰인 ‘셔’의 예만 확인되나, 여기에서 변화한 ‘셔울’이 ‘셔욿/셔울’로 이형태 교체를 하는 ‘ㅎ 종성 체언’이었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셔’ 역시 ‘셔/셔’의 이형태 교체를 하는 ‘ㅎ 종성 체언’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5세기 중엽에 ‘ㅸ’이 반모음 ‘w’로 바뀌면서 ‘셔/셔’은 ‘셔욿/셔울’로 변화하였다. 이 단어는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셔욿’, 그 밖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이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셔울’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미 15세기부터 기존에 ‘셔욿’이 쓰이던 환경에서도 끝소리 ㅎ이 탈락한 ‘셔울’이 쓰인 예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셔욿’과 ‘셔울’은 17세기까지 공존하다가 18세기 이후로 ‘셔욿’은 사라지게 되었다. 근대 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가 단모음 ‘ㅏ, ㅓ, ㅗ, ㅜ’로 바뀌는 현상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서울’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중세 국어 시기에 ‘셔, 셔욿, 셔울’은 ‘나라의 수도(首都)’라는 의미만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조선 시대의 수도가 오늘날의 서울이었기 때문에, 17세기 이후로는 특정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으로도 쓰이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셔, 셔욿, 셔울, 셔올, 서울
세기별 용례
15세기 : (셔, 셔욿, 셔울)
셔 도기 드러 님그미 나갯더시니 ≪1447 용가 49
悠悠히  먼  비취옛니 슬피 셔울흘 노라 ≪1481 두시-초 15:52ㄴ
梵僧 攝摩騰과 竺法蘭이 經과 佛像과 舍利 白馬애 시러 나오거늘 맛나아  도라오니  읻자히 셔울 드러오니라 ≪1459 월석 2:66ㄴ
 帳은 흐르 므를 좃고 가  녯 셔울로 도라가놋다 ≪1481 두시-초 24:45ㄴ
16세기 : (셔욿, 셔울)
견 조차 가 글  호더니 셔울히 어즈러워 하묘와 악은니 다 죽거 ≪1518 이륜-옥 46ㄱ
셔울에 모도와 여곰 아 나조 서르 더블어 正 學을 강론야 키게 홀디니라 ≪1588 소언 6:11ㄴ
셔울 므슴 일 이셔 가다 ≪1510년대 번노 상:8ㄱ
17세기 : (셔욿, 셔울, 셔올)
다  와 이바디  호니 어드메이 셔울힌고1632 두시-중 15:50ㄴ
참봉 뎡원린과 뎡원긔 셔울 사이니 효 뎡신의 아이라 ≪1617 동신속 효4:90ㄴ≫
임진왜난의 의병을 슈챵여 셔울로 바 향여 강홰 드러가 딕희여 ≪1617 동신속 충1:38ㄴ≫
셔울은 어  나셔 여긔 어  브트시리라 니고 ≪1676 첩신-초 5:11ㄴ
어  어 날 셔올을 나셔 어  出船 吉日인고 야 ≪1676 첩신-초 5:3ㄱ
뉴시 셔올 사이니 봉교 오몽냥의 안해라 ≪1617 동신속 열2:36ㄴ≫
18세기 : (셔울, 셔올)
百官의 집이 셔울 잇니 그 鄕里의 遠近이 가지 아니며 ≪1737 어내 2:96ㄱ
셔울은 아모  아모 날 떠나셔 ≪1748 첩신-개 5:17ㄱ
과 무명과 돈이 셩의 몸에셔 내여 셔울과 외방에 바치 거슨 진휼에 부치며 ≪1794 유호남육읍윤음 3ㄴ
셔올은 어 나셔 ≪1748 첩신-개 5:16ㄴ
七晝夜의 交趾로셔 셔올디 니니 人馬ㅣ 만히 샹고 ≪1756 어훈 20ㄱ
19세기 : (셔울, 서울)
셔울 京 ≪1880 한불 396
서울 경 京 서울 京師 京畿 京城 長安 ≪1895 국한 174
서울을 漢陽이라 稱며 ≪1896 심상 1:23ㄱ

관용구·속담(22)

속담서울 가는 놈 감투 부탁 받은 격
서울 가는 사람이 남에게서 감투를 구해다 달라고 부탁을 받고는 건성으로 구해다 주겠다고 대답하는 식이란 뜻으로, 남의 부탁을 받고서도 거기에는 관심이 전혀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 가는 놈이 눈썹을 빼고 간다
여행을 떠날 때는 조그마한 것이라도 짐이 되고 거추장스럽다는 말. <동의 속담> ‘길을 떠나려거든 눈썹도 빼어 놓고 가라
속담서울 가 본 놈하고 안 가 본 놈하고 싸우면 서울 가 본 놈이 못 이긴다
실지로 해 보거나 직접 눈으로 본 사람은 사실대로만 말하지만, 실지로 해 보거나 직접 눈으로 보지 아니한 사람은 오히려 더 그럴듯한 이론이나 과장된 이야기를 말해서 더 그럴듯하고 더 엄청나게 이야기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 (가서) 김 서방 찾는다[찾기]
넓은 서울 장안에 가서 주소도 모르고 덮어놓고 김 서방을 찾는다는 뜻으로, 주소도 이름도 모르고 무턱대고 막연하게 사람을 찾아가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 길도 물어서 가라
쉬운 일일지라도 신중을 기하여 실수가 없게 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 김 서방 집도 찾아간다
어디에 있는지를 잘 모르는 사람이나 물건도 찾으려고만 하면 어떻게든 찾아낼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 놈의 글 꼭질 모른다고 말꼭지야 모르랴
글을 모른다고 말꼭지조차 모를 줄 아느냐는 뜻으로, 글을 모른다고 너무 무시하지 말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 량반은 글 힘으로 살고 시골 농군은 일힘으로 산다
서울 사람과 시골 사람은 살아가는 수단과 방법이 다르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은 자기의 격식대로 살아 나간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서울 사람의 옷은 다듬이 힘으로 입고 시골 사람의 옷은 풀 힘으로 입는다
속담서울 사람[놈]은 비만 오면 풍년이란다
서울 사람이 농사일에 대하여 전혀 모름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 사람을 못 속이면 보름을 똥을 못 눈다
시골 사람이 서울 사람을 못 속이면 보름 동안 똥을 못 눌 정도로 속을 태운다는 뜻으로, 시골 사람 중에 서울 사람을 속이려는 사람이 많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시골 놈이 서울 놈 못 속이면 보름씩 배를 앓는다
속담서울 사람의 옷은 다듬이 힘으로 입고 시골 사람의 옷은 풀 힘으로 입는다
서울 사람과 시골 사람은 살아가는 수단과 방법이 다르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은 자기의 격식대로 살아 나간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서울 량반은 글 힘으로 살고 시골 농군은 일힘으로 산다
속담서울서 매[뺨] 맞고 송도서[시골에서] 주먹질한다
욕을 당한 자리에서는 아무 말도 못 하고 뒤에 가서 불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빙고에서/한강에 가서/행랑 뒤에서] 눈 흘긴다’ ‘영에서 뺨 맞고 집에 와서 계집 찬다’ ‘읍에서 매 맞고 장거리에서 눈 흘긴다
속담서울 소식은 시골 가서 들어라
서울에서 벌어진 사건에 대한 소식 중의 어떤 것은 시골에 먼저 퍼진다는 뜻으로, 자기 주위의 일은 먼 데 사람이 더 잘 아는 경우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 아침이다
옛날 서울 양반집 아침처럼 아침이 매우 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에 가야 과거도 본다
서울에 가야 과거를 보든지 말든지 한다는 뜻으로, 우선 목적지에 가 봐야 어떤 일이 이루어지든지 말든지 한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에 감투 부탁
감투를 구하기 어려운 서울에다가 감투를 부탁하여 놓고 구해다 주겠거니 하고 무턱대고 기다리고 있다는 뜻으로, 좋은 결과가 이루어질 수 없는 데에 기대를 걸고 기다리고 있는 어리석은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에서 뺨 맞고 안성 고개 가서 주먹질한다
서울서 매[뺨] 맞고 송도서[시골에서] 주먹질한다’의 북한 속담.
속담서울을 가야 과거에 급제하지
어떤 성과를 거두려면 그에 상당한 노력과 준비가 있어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하늘을 보아야 별을 따지’ ‘눈을 떠야 별을 보지’ ‘임을 보아야 아이를 낳지’ ‘잠을 자야 꿈을 꾸지
속담서울이 낭이라
서울은 낭떠러지와 같다는 뜻으로, 서울 인심이 야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서울이 낭이라니까 과천[삼십 리]부터 긴다
서울 인심이 야박하여 낭떠러지와 같다는 말만 듣고 미리부터 겁을 먹는다는 뜻으로, 비굴하게 행동하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서울이 무섭다니까 남태령[서재]부터 긴다
속담서울이 무섭다니까 남태령[서재]부터 긴다
서울 인심이 야박하여 낭떠러지와 같다는 말만 듣고 미리부터 겁을 먹는다는 뜻으로, 비굴하게 행동하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서울이 낭이라니까 과천[삼십 리]부터 긴다
속담서울 혼인에 깍쟁이 오듯
서울 집 혼인에 지나가던 깍쟁이들이 얻어먹겠다고 모여든다는 뜻으로, 관계도 없는 사람이 많이 모여든 경우를 두고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