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따비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농업』
「001」풀뿌리를 뽑거나 밭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 쟁기보다 조금 작고 보습이 좁게 생겼다. 청동기 시대의 유물에서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농경을 시작하면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작은 다랑이는 그나마 쟁기를 댈 수가 없어 따비로 이겨야 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쟁기를 쓸 줄 몰라 따비로 밭을 갈고, 돛배를 만들 줄 몰라 삼나무 뗏목을 타고….≪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보(16세기~17세기)/부(16세기~19세기)>븨(18세기~19세기)>따비(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따비’의 옛말인 ‘보, 부’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이 ‘ㅢ’로 바뀐 ‘븨’ 형태가 등장하였고,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현대 국어의 ‘따비’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보, 부, 븨
세기별 용례
16세기 : (보, 부)
보  ≪1527 훈몽 중:9ㄱ
부 뢰 ≪1576 신증 상:28ㄴ≫
17세기 : (보)
비록 잇 健壯 겨지비 호와 보 자나 禾穀이 나니 받 이러미 東西ㅣ 업게 가랫도다 ≪1632 두시-중 4:2ㄴ
갈과 삸 미트로 호와 보 오 ≪1632 두시-중 4:23ㄱ
18세기 : (븨)
븨 뢰 耒 ≪1781 왜해 하:2ㄴ
19세기 : (부, 븨)
남글 갓가 부 글고 남글 휘워 부  그라 ≪1832 사략 1:5ㄱ≫
븨 耟 ≪1880 한불 460

다중 매체 정보(1)

  • 따비

    따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