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삼태기

- 품사
- 「명사」
- 「001」흙이나 쓰레기, 거름 따위를 담아 나르는 데 쓰는 기구. 가는 싸리나 대오리, 칡, 짚, 새끼 따위로 만드는데 앞은 벌어지고 뒤는 우긋하며 좌우 양편은 울이 지게 엮어서 만든다.
- 아이들과 아낙네들은 삼태기에 자갈들을 담아다 부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효석이 쓰레기를 삼태기에 쓸어 담고 길 복판에 선 채 우두커니 두 사람을 기다렸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양람(颺籃)
- 지역어(방언)
- 산대미(강원, 경상, 전북), 산태미(강원, 경남, 경북, 전라, 충북), 삼치(강원, 평안, 함경, 황해), 삼태미(강원, 경기, 경남, 전라, 충청), 삼태(경기), 거름-소구리(경남), 거름-소꾸리(경남), 거름-소쿠리(경남, 전남), 꺼렁태이(경남), 꺼렁탱이(경남), 망태(경남), 망태기(경남), 산더미(경남), 삼띠미(경남), 삼티기(경남), 오장치(경남), 짚-소그리(경남), 짚-소꾸리(경남), 짚-소쿠리(경남), 채-소꾸리(경남), 채-소쿠리(경남), 산대기(경북), 산디기(경북), 산지(경북), 산치(경북, 함남), 산태기(경북), 삼대기(경북, 중국 흑룡강성), 삼채기(경북, 중국 흑룡강성), 짚-소구리(경상), 거렁이(전남), 거렁치(전남), 거렝이(전남), 거름-개(전남), 꺼렁지(전남), 사태미(전남), 삼탱이(전남), 재-송쿠리(전남), 조락(전남), 갈체(제주), 소버치(충청, 중국 길림성), 삼티(평안), 잠태기(평안), 사태기(함북, 중국 길림성), 소보치(함북), 쉐버치(함북, 중국 길림성), 쉐보치(함북), 삽반(황해)
- 옛말
- 산태
역사 정보
산태(16세기)>삼태(17세기~18세기)>삼태이(19세기)>삼태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삼태기’의 옛말은 16세기 문헌에서 ‘산태’로 나타난다. 그런데 17세기가 되면 이 형태는 보이지 않고 ‘삼태’가 널리 쓰이기 시작하는데, 19세기에는 ‘ㆍ>ㅏ’의 2단계 소실에 따른 ‘ㆍ’와 ‘ㅏ’가 음성적 유사성으로 인한 ‘삼’와 같은 어형도 관찰된다. 그리고 19세기 후반에는 이 ‘삼태’에 ‘-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삼태이’가 보인다. 현대 국어 ‘삼태기’는 ‘삼태+-기’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말로 보이나 문헌에서 확인되지는 않는다. |
---|---|
이형태/이표기 | 산태, 삼태, 삼, 삼태이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삼태기로 앞 가리기
- 속이 빤히 들여다보이는 일을 속여 보려고 하는 어리석은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