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대야

- 품사
- 「명사」
- 「001」물을 담아서 무엇을 씻을 때 쓰는 둥글넓적한 그릇.
- 대야에 물을 떠 세수하다.
- 개울물에 대야를 부시고 깨끗한 물을 받아 다시 방으로 돌아온 환이는 수건을 빨아서 여자 얼굴을 닦아 준다.≪박경리, 토지, 솔 출판사, 1994년≫
- 대야를 머리에 인, 그래서 마치 그것 때문에 키가 자라지 못한 듯 보이는 여인네는 엉덩이를 흔들며 산 아래로 걸어 내려갔다.≪한창훈, 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 창작과 비평사, 2003년≫
- 나는 낡은 대야에 속옷을 헹구는 그녀의 마디 굵은 손을 말없이 바라보다 슬며시 그 자리를 빠져나왔다.≪유시춘 외, 여성 이야기 주머니(콩트로 읽는 여성학 강의), 녹두, 1992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대여(경기, 충북), 대와(경기, 전남), 양대(경북), 대(경상), 대에(경상), 수대(경상), 대양(전남), 데(전남), 디양(전북), 사레(제주), 소래(제주, 함경), 대하(충남), 소랭이(평안, 중국 요령성), 쉐시-소랭이(평안), 쉐시-풍지(평안), 때애(함경), 소래기(함남), 소래이(황해)
- 옛말
- 다야
역사 정보
다야(15세기~19세기)>대야(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대야’의 옛말인 ‘다야’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야’는 16세기 이후 제2음절 모음 ‘ㅑ’의 영향으로 제1음절 모음 ‘ㅏ’가 ‘ㅐ’로 변화한 ‘대야’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원래 ‘대야’는 ‘술이나 음식을 담는 그릇’의 의미를 가졌다. 18세기 이후 ‘물을 담아서 무엇을 씻을 때 쓰는 둥글넓적한 그릇’의 의미로도 확대되어 후자의 의미만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다야, 대야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