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농노

- 품사
- 「명사」
- 분야
-
『역사』
- 「001」중세 봉건 사회에서, 봉건 영주에게 예속된 농민. 경제 외적(外的)으로는 영주로부터 신분적 지배를 받았고, 토지에 얽매여 이전(移轉)의 자유가 없었으며, 영주로부터 대여받은 토지를 경작하는 대가로 부역(賦役)과 공납(貢納)의 의무를 졌다.
- 제정 러시아에서는 농노라 하여 농토보다 농노의 대가리 수로써 재산의 기준을 삼았으며….≪박경리, 토지≫
- 농사를 짓고는 영주에게 지대를 바치는 농노 말입니다. 근대의 자본주의 나라 영국에서라면 노동자가 되었겠지요.≪이진경, 논리 속의 철학 논리 밖의 철학, 새길, 1993년≫
- 예컨대 노예가 없으면 노예 소유자도 있을 수 없고, 농노가 없으면 봉건 영주도 존재할 수 없으며, 임금 노동자 없이는 자본가도 없다.≪유시민,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 이야기, 한샘 출판사, 1994년≫
- 그래서 신분적 구속을 벗어나려는 농노와 자유로운 노동자를 필요로 하는 시민계급은 이 점에서 이해관계를 같이했고 봉건제를 무너뜨리기 위해서 힘을 모아 싸웠습니다.≪이상태, 읽을거리 생각 거리, 대구광역시 교육청, 1996년≫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예농(隷農)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