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어휘
역사 정보
되아지(19세기)>돼지(20세기~현재)
설명 |
---|
현대 국어 ‘돼지’의 옛말인 ‘되아지’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되아지’가 축약되어 현대 국어의 ‘돼지’ 형태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되아지’는 기원적으로 ‘돝’에 관형격 조사 ‘-’, “새끼”를 뜻하는 ‘아지’가 결합한 ‘*도아지’에서 변화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실제 문헌에는 ‘*도아지’ 형태가 나타나지 않는다. ‘되아지’는 ‘망아지, 송아지, 강아지’와 마찬가지로 본래 “새끼”를 가리키는 어휘였으나 19세기부터 이미 의미가 확장되어 ‘돝’을 대신하여 쓰이게 되었다. |
이형태/이표기 |
되아지, 되야지, 도야지 |
세기별 용례 |
뜻풀이
|
관용구·속담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