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름발음 듣기]
품사
「의존 명사」
「003」((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두 팔을 둥글게 모아 만든 둘레 안에 들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꽃을 한 아름 사 오다.
나는 도서관 앞에서 책을 한 아름 들고 나오는 그를 만났다.
그녀는 빨랫줄에서 걷어다 놓은 기저귀를 한 아름 안고 안방으로 들어갔다.
전날 초저녁 몇 아름이나 되는 장작으로 뜨겁게 달구어졌던 방은 어느새 얼음장처럼 식어 있었다.≪이문열, 그해 겨울≫
양손에 짐 보따리를 한 아름씩 든 것으로 보아 거의가 고향 찾아 올라오는 피난민들인 모양이다.≪홍성원, 육이오≫
나는 그를 환영할 한 아름의 장미꽃 다발을 마련하는 일을 잊고 있었다.≪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신당 뒤꼍 대밭에 들어가 한 아름이나 대를 베어 온 그는, 눈이 푹신하게 덮인 마당에 짚을 깔고 그 위에서 대발을 엮었다.≪문순태, 피아골≫

역사 정보

아놈(15세기)>아(17세기~18세기)>아름(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름’의 옛말인 ‘아놈’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놈’은 “안다”의 뜻을 가진 ‘안-’에 명사형 어미 ‘-옴’이 결합된 것으로 ‘안다’의 명사형이다. 17세기의 ‘아’은 ‘ㄴ’이 ‘ㄹ’로 변한 것인데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19세기의 ‘아람’, ‘아름’은 ‘ㆍ’가 제2음절에서 ‘ㅏ’와 ‘ㅡ’로 바뀐 것인데 ‘ㆍ’는 제1음절이 아닐 경우 ‘ㆍ’보다 ‘ㅡ’로 바뀌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이형태/이표기 아놈, 아, 아, 아롬, 아람, 아름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놈))
서리 마 거프리 비 저저 마 아노미오1481 두시-초 18:12ㄱ_2
17세기 : ((아, 아))
서리 마 거프리 비 저저 마 아미오1632 두시-중 18:12ㄱ
아으로 무슬 되 ≪1685 염소 8ㄱ
18세기 : ((아, 아롬))
허리 너기 세 아이나 고 ≪1765 박신 3:34ㄴ
一摟  아롬1748 동해 하:21ㄴ
19세기 : ((아람, 아름))
아람 一圍 ≪1895 국한 343
아람드리 連抱 ≪1880 한불 9
 흰 암이 잇스니 크기  아름만 지라 ≪1852 태상 5:49ㄱ
위로